본문 바로가기
박사의 시선

45주차 수요일_ 서론 고치기

by Doriee 2018. 11. 8.
안녕하세요. 도리입니다.

저는 지금 마음이 너무너무 급해요. 아무리 바빠도, 매일 짧게라도 '남에게 보여줄 수 있는 글’을 쓰는 순발력을 기르고자 하였건만..  오늘은 까딱하면 글 못쓸뻔 했어요. 그래도 이렇게 30분 글쓰기의 초능력을 발휘해 보려구요! 

(이미 블로그상에서 여러번 말씀드렸지만) 저는 이번 겨울이 끝나기 전에 박사과정을 미무리 하고자 애를 쓰고 있습니다. 이미 초고는 나왔고, 2달 동안 최대한 많이 수정해서 내년 1월 초에 제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능력자들도 제대로 수정하는데 6개월은 걸린다고 했는데, 없는 시간에 욱여 넣고자 용을 쓰니 오히려 더 허둥지둥하는 감도 있네요. 마음은 급한데 스텝은 꼬이고. 

이번 주가 45주차이고, 오늘이 수요일 저녁이니깐, 2018년이 8주도 안남은 건데, 7개의 챕터중에서 수정까지 완료된 챕터는 하나도 없네요. 수정에, 교정에, 편집에.. 저도 제 미래가 어떻게 될 지 모르겠어요...ㅠㅠ 올해초까지만 해도 11월 말에는 박사를 끝내고 한국으로 컴백할 수 있을줄 알았거든요. 심지어 2017년 가을에는 2018년 4월에는 졸업할 수 있을 줄 알았죠. 그때는 결론은 커녕 결과챕터도 안끝났는데;; 대체 무슨 자신감이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지금 저는 초고를 다 끝내고 서론을 고치는 중입니다. 이 서론은 제가 필드웍을 다녀오기 전인 2015년에 쓴 것인데, 그 동안은 논문 초고를 만드느라 엉망인 걸 알고 있으면서도 차마 손을 못대고 있었죠. 지난 달에 결론까지 마무리하고 나서야 이제 다시 서론을 들여다 볼 여유(?)가 생겨서 10월에서 11월이 넘어오면서 진짜 서론을 만들고 있습니다. 어떤 분이 박사 논문은 'you question, you answer’라고 하셨던 것이 기억납니다. 이분도 어떤 책에서 읽으셨다고 했는데 아마 How to get a PhD 아니면 Authoring a PhD가 아닌가 싶네요. 몽실언니 블로그에 이 책들을 소개한 포스팅이 있으니 궁금하신 분은 (클릭하면 이동)

아무튼, 2015년에 필드웤에 다녀온  후, 몇 년 동안은 Answer를 찾는 시간이었다면, 이제는 그 대답들이 어떤 질문에 대한 대답인지 찾는 작업이 바로 서론챕터 수정의 목적입니다. 2015년에 써놓은 서론은 제가 분석한 대답(findings)에는 맞지않는 질문이었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에, 지금은 대답에 맞는 질문이 무엇인가 고민하고 있습니다. (you find provisioinal answers, then you formulate questions) 사람들이 제 논문을 순서대로 읽는다면 question->answer이 되겠지만, 사실 저는 answer->question로 쓴 걸 보여주는 거죠.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슈퍼컴퓨터가 750만년동안 계산한 결과 '삶 우주 그리고 모든 것에 대한 궁극적인 해답(the ultimate answer to life, the universe and everything)'으로 42라는 답을 얻었지만, 그 해답의 궁극적인 '질문’을 못찾아서 대충 그냥 '6곱하기 9는 뭐냐?‘ '사람은 얼마나 많은 길을 걸어야 하나?‘ 라는 대답에 매치가 안되는 걸로 그냥 퉁치게 된다고 하네요;;;; 

구글에 "the answer to life the universe and everything"이라고 쳐 본 결과



(아주 정확하게 매치되는 사례는 아니지만) 제 친구의 연구방식도 이와 비슷하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 친구는 곤충 박사님인데, 저널 아티클 한 편을 쓰기 위해, 인도네시아의 열대우림에서 곤충을 한 마리 발견해 온다고 합니다. 지구의 다른 생명체들처럼 곤충도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기 때문에, 찾아온 곤충이 발생학적, 계통학적으로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저널아티클로 낸다고 하네요. 인도네시아에서 곤충을 연구실로 데려와서 이렇게 저렇게 이제껏 못봤던 생김새들이나 특징도 기록하고, 다른 애들과 다른점도 찾고, 암튼 다양한 방법으로 파편화된 사실들을 추출합니다. 그걸 가지고 얘가 뭔지(?) 알아내야 하는데, 답을 눈앞에 두고도, 새로운 사실도 다 발견했는데, 그게 정답이라는 것도 너무나 분명한데 걔가 누군지 설명을 못하는 경험을 곤충필드 연구자들이 꽤 많이 한다고 합니다. 지식이란 게 그런 건가봐요. '42’ 처럼, 그게 답이라는 건 확실한데, 무슨 질문에 대한 답인지는 못찾는 상태. 

지금 제가 그런 상태입니다. 블로그 글은 질문을 제가 구성하지 않아도 되니깐 좋네요. 저는 아무말이나 쓰고, 그게 어떤 질문에 대한 대답인지 찾는 즐거움고통은 독자 여러분의 몫이 되니깐요! 정말, 잘하지도 못하고, 이렇게 힘들어하면서 왜 저는 이걸 그만두지 못할까요. 그저 신기할 따름입니다. 그렇지만 저는 내일도 일어나서 세수를 하고 옷을 입고 머리를 묶고나서 집을 나와 자전거를 타고 학교를 가겠죠. 내일 학교에 도착해서 10분 동안 내가 왜 이걸 하고 있나 (하려고 했나) 한 번 생각해봐야 겠어요. 너무 오래되서 대체 무슨 생각으로 이걸 시작했는지 기억이 안나네요. 

여러분도 하루를 시작하기 전에 '내가 여기서 지금 뭘하고 있나‘ 한 번 환기해 보시길 권해 드려요. 그래야 저처럼 잘못된 길로 빠지지 않으실 테니깐요.하하..(눈에서 땀이 나네요..ㅠㅠ)




댓글